보도자료

[보도자료] 예산 낭비 드러난 공공동물병원.. 동물복지에 대한 고민 없이 김포시는 자화자찬에만 급급

작성자 대한수의사회 이메일 등록일 2025-07-10 조회수 1921
첨부파일 링크

 

 

 

예산 낭비 드러난 공공동물병원.. 동물복지에 대한 고민 없이 김포시는 자화자찬에만 급급

 

 

 

모든 김포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동물병원 설립을 추진하여 수의계와 갈등을 빚었던 김포시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가 설립된지 1년이 지났다. 김포시는 실효성과 만족도를 모두 잡았다며 자랑에 나섰으나 구체적 성과는 명확하지 않으며, 수억원의 적자 운영 등 예산 낭비에 대해서는 아무런 해명도 없었다.

먼저 김포시에 따르면 1년 동안 진료 건수는 1,626건이며 일반 시민 이용률이 82.8%로 보편적 반려복지를 이루었다고 밝혔으나, 4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한 공공진료센터의 일평균 진료 건수는 6건에 불과하며, 연수입은 1,500만원 수준으로 이것이 과연 자랑할 실적인지 의문이다. 이미 작년 센터 추진 단계에서부터 수의계와 일부 시의원들이 예산의 비효율성과 사업의 우선순위를 지적한 바 있다.

우리 회는 한정된 예산을 감안할 때 동물의료 바우처 사업 등이 동물 건강과 복지 증진에 더 효율적임을 제안했다. 지자체가 지역 내 동물병원과 협력하여 동물보호자의 진료비를 지원하는 형태로, 기존 동물병원의 시설과 인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김포시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는 이미 작년에만 동물병원 개설 등에 약 4.3억원을 지출했으며, 해마다 인건비 및 운영비 등으로 1.7억원 이상을 계속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바우처 사업은 동물보호자의 접근성에 있어서도 강점이 있어 더 많은 시민이 혜택을 볼 수 있다. 여의도 면적의 95배가 되는 김포시에서 1개의 공공진료센터를 지어 놓고 모든 시민이 대상이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예산의 우선순위도 문제다. 김포시의회에서도 유기동물 대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국 최초의 전 시민 대상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 설립이라는 타이틀을 얻은 것과 대조적으로, 김포시는 유기동물보호센터를 아직도 외부에 위탁 운영하여 김포시에서 구조된 동물이 양주시로 보내지는 형편이다. 공공진료센터는 김포 시민의 반려동물만 진료하며, 유기동물 진료와 같이 공공의료가 해야 할 역할은 외면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 31개 시군 중 10개 시군이 보호센터를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김포시는 유기동물 보호는 소홀히 하며 시민들에게 보여주기 좋은 공공진료센터만 자랑하는 꼴이다.

김포시는 이제라도 동물보호자가 없는 유기동물에도 관심을 갖는 등 동물보호복지에 진정성을 보이고, 정책 및 예산 수립과 집행에 신중함을 보여주기를 당부한다.

 

 

<.>


(우)1359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 319번길 8-6 대한수의사회 대표전화 : (031)702-8686 팩스번호 : (031)702-1020
(구 463-82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72-5 대한수의사회
사업자등록번호 110-82-01165   대표자 : 허주형

COPYRIGHT© 2017 BY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